푸드 마일리지 식품이 생산된 곳에서 일반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거리. 푸드 마일의 개념은 영국의 소비자 운동가 팀랭이 1994년 처음 사용했다. 농산물 공급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입농산물에 대한 안정성, 신선도, 이동까지 배출되는 온실가스 등은 소비자의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안전성이 높으면서 수송에 따른 환경오염을 경감한다는 주장이 최근 유럽 소비자나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아침에 텃밭에서 딴 이 표고버섯은 저녁 반찬이 되었다. 푸드 마일리지 스물다섯 발자국. 식감이 다르다.